상단영역

본문영역

KERI ‘스마트 보청기’ 음향제품 전문기업에 기술 이전

KERI ‘스마트 보청기’ 음향제품 전문기업에 기술 이전

  • 기자명 박선호 기자
  • 입력 2017.09.25 09:29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용자 친화형 무선통신 융합 보청기 기술 개발
무선충전, 스마트 기기 연동, 인공지능 환경 자동 인식, 합리적 가격

▲ 스마트 보청기를 이용한 다양한 정보 통신기기와의 연동

[에너지코리아뉴스] 한국전기연구원(KERI∙원장 박경엽) 융복합의료기기연구센터 박영진 책임연구원팀은 정부 지원 주요사업인 ‘사용자 친화형 무선통신 융합 스마트 보청기 개발’ 과제의 일환으로 기존 보청기 기능에 무선충전, 스마트 기기 연동, 인공지능 환경 인식 기능 등 ICT 기술이 융합 접목된 ‘스마트 보청기(KERI-Smart Hearing Aid)’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개발 관련 기업에 기술 이전했다고 25일 밝혔다.

연구진은 보청기의 핵심부품으로서 전력을 적게 소모하면서 고성능의 음성신호처리가 가능한 SoC(System on Chip)의 자체개발을 통해 노령 난청환자들의 편의성 증진에 최적화된 기술을 개발했다. ▲MEMS 기반 방향성 마이크로폰 기술 ▲저전력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 기기와의 연동 ▲배터리 교체가 필요없는 비접촉 무선충전 기능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고도화된 초소형 패키지 기술 ▲저 전력 음성 칩셋 기술 △머신 러닝 기반의 다양하고 복잡한 생활 환경 인식 기술 등도 활용함으로써 고급 기능을 두루 갖추면서도 가격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했다.

연구팀은 이와함께 스마트 보청기용 음성 신호처리 최적화를 위해 외부 잡음 환경의 변화에 따른 최적의 ‘환경 잡음 제거 알고리즘 기술’을 개발했다. IoT 및 가전 기기와의 ‘무선 연결 제어 기술’도 개발해 스마트폰 등으로 보청기를 제어할 수 있게 해준다. 아울러 난청 환자에게 맞춤형 보청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일반인이 듣는 것보다 더 나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했다. 보청기 마이크로폰 방향 제어와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한 ‘자동 환경 인식 기술’로 음성 전화통화나 TV·라디오 등 음원을 청취할 때 다양한 소음 환경에서도 주변 소음을 줄여 선명하게 소리를 듣게 해준다.

KERI 연구진은 현재 보청기 플랫폼을 기반으로 고령 난청 환자를 위한 모바일 헬스케어 관련 장비와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개발기간 단축과 해외 선도업체 추월을 위해 국내 대학병원, 한양대, 인하대 등과 함께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핵심 기술은 연구원이 개발하고, 인공지능 음성 서비스, 고급형 음향기기, 청각보조의료기기 플랫폼 기반 모바일 헬스케어 응용 기술 등의 관련 기술은 타 기관과의 융합-협동 연구를 통해 개발했다.

한국전기연구원은 개발된 기술을 휴대폰용 스피커, 리시버 등 정밀음향부품과 무선헤드셋 등 제품의 개발과 제조에서 국내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이엠텍에 기술이전했다. 착수기술료(정액기술료) 11억 원에 제품이 시장에 판매되면 매출 실적에 따라 일정 비율의 런닝로열티를 추가로 받는다는 조건이다. 보청기용 핵심부품인 BA(Balanced Armature) 스피커를 이미 자체 개발완료해 자동화 생산설비까지 갖춘 이엠텍은 이전받은 기술을 적용해 2020년 이내 국산화한 스마트 보청기 제품을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국산화된 SoC와 핵심 부품을 사용할 경우, 기존 고가의 개인 맞춤형 외국 제품에 비해 동일성능 혹은 최신기술이 접목된 고성능을 보장하면서도 가격 때문에 보청기 사용을 주저했던 난청인구들의 경제적 부담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수준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연구원은 내다봤다.

연구를 이끈 KERI 박영진 책임연구원(융복합의료기기연구센터장)은 “이번 스마트 보청기 핵심기술 개발 및 상용화 추진으로 보청기 제품의 대외 의존도를 크게 개선하는 한편, 세계적인 노령화 추세로 인해 급격히 증가하는 글로벌 청각보조기기 관련 시장에 국내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는 등 국내 실버산업 성장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스마트 보청기가 성공적으로 상용화될 수 있도록 기술이전업체와 지속적인 기술교류 및 전수 계획도 가지고 있어, 국책연구소 연구개발 결과의 성공적 상용화를 위한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코리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