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해상풍력으로 신재생 선도한다

해상풍력으로 신재생 선도한다

  • 기자명 박병진 기자
  • 입력 2011.01.28 14:30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경섭 해상풍력추진단장

정부가 지난해 야심차게 발표한 해상풍력 로드맵. 로드맵실현에 중추적 역할을 맡게 된 해상풍력추진단의 첫 번째 행보가 지난 1월 13일 시작됐다. 코액스에서 열린 ‘Offshore Wind Power Korea 2011’의 중심에 한경섭(지식경제부 풍력 PD) 해상풍력추진단장이 있다. 그는 이번 워크샵의 세세한 부분까지 손수 기획했다. 발표문까지 일일이 확인할 정도였다. 지난해 12월 16일 발족한 해상풍력추진단은 새로운 업무에 모두 분주해 보였다. 에너지기술평가원을 찾아 한경섭 단장을 만났다.

▲ 한경섭 해상풍력추진단장
“절대 행사가 아닙니다. 그 점을 잊어선 안됩니다.” 첫 행사 준비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한경섭 단장은 단호하게 받아쳤다. 한 단장은 이번 워크샵의 목적이 ‘행사’가 아닌 ‘공부’에 있다고 못 박았다. “행사라고 해서 결국엔 업체광고를 하거나 뻔한 이야기만 되풀이 하는걸 굉장히 싫어합니다.” 알맹이 없는 행사는 지양하겠다는 것이다. 순수하게 선진기술에 대해 배우는 자세로 학습하겠다는 의지가 선명했다.

사실 해상풍력은 세계적으로도 시연단계다. 철저한 사전조사와 준비가 필수적으로 선행돼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한 단장의 취지는 당연한 것이다. 이틀 후 워크샵을 취재한 기자는 한 단장의 의지가 말 뿐임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가 빌린 컨퍼런스룸이 300명 들어가는 곳입니다. 사람을 더 많이 부르려면 그럴 수도 있었지만 하지 않았죠. 참석자는 전원 실무자들입니다. 그들만 해도 100명은 족히 넘습니다. 지경부에 양해를 구하고 참가비를 받은 것도 그런 이유입니다. 생각 같아선 문을 잠그고 워크샵 진행을 하고 싶은 정도 입니다(웃음). 한 단장은 워크샵 발표문도 일일이 직접 검토했다고 한다. 가라드 핫산(GL Garrad Hassan)의 해상풍력센터장과 아시아 지역 매니저, Mr. Lu 상해 감측설계연구원 부원장, 이준신 박사 등 발표자들도 수많은 고민 끝에 선별적으로 정해졌다.

해상풍력은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 중인 신재생에너지 분야다. 그래서 그의 어깨가 무거울 법도 하다.

“MB정부의 저탄소녹색성장 선언이 이렇게 고마울 수가 없어요. 따로 홍보를 하지 않아도 엄청난 홍보효과를 누리고 있죠.” 정부의 해상풍력 로드맵핵심은 시장을 활성화하는 것, 즉 돈을 벌자는 것이다. “저도 교수지만 기술적인 R&D를 하는 사람은 아니에요. 지경부에서 했던 것도 시장 지향(market-oriented) 서포트에요. 시장을 키우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입니다.” 시장이 죽으면 기술이 좋아도 소용이 없다는 점을 그는 강조한다.

2012년부터 시행될 RPS는 해상풍력발전에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물론 대환영이죠. 정부가 2012년부터 RPS를 시행하자고 했을 때 풍력업계는 모두 손들고 박수를 쳤습니다. 물론 RPS 대상으로 지정된 발전사들은 정해져 있지만 중소 풍력업체도 환영이죠. 대상 업체에 팔면 되거든요. 게다가 인증서 가중치가 해상풍력은 2.0 이니까 말할 나위가 없죠.” 한 단장은 RPS를 화석연료로 대규모 발전사업을 해온 회사들에게 신재생에너지 사용을 늘리려는 수단이라고 설명했다. 대신 강제로. “그들에게 죄를 씻는 기회를 주는 거죠(웃음).”

태양광과 풍력은 국내 신재생에너지의 양대산맥이라 할 만하다. 그래서 항상 비교대상이 된다. “태양광과 풍력은 발전단가에서 애초에 비교할 수 없습니다. 풍력이 훨씬 싸니까요. 정부와 업계도 그 점을 인지하고 풍력개발에 열을 올리는 겁니다.” 그는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에서 풍력이 선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었다.

그러기 위해 해상풍력이 갖춰야 할 것이 트렉레코드(Track Record) 확보다. 트랙레코드란 일정기간 풍력발전기를 설치·가동한 운영경험으로 국내기업들이 필수적으로 거쳐야할 코스다. 앞다투어 해상풍력 연구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지만 매출을 실현시키지는 못하는 이유도 트랙레코드가 확보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정부도 이미 로드맵 발표에서 중요성을 밝힌바 있다.

“로드맵 1단계의 목표는 단연 트렉레코드 축적입니다. 정부가 자리를 마련하고 기업들이 시운전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죠. 하지만 이제까지 기회가 없었어요.” 한 단장은 대기업 뿐 아니라 여러 중소기업에도 부지에 해상풍력발전기를 설치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부 입장에서 어느 한쪽에만 기회를 주는 건 불공평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기업들이 트렉레코드 확보에 뛰어들 것인가? 정부의 해상풍력 로드맵을 보면 민간투자가 정부투자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여기에 대해 우려를 제기하는 사람들도 있다. 비용이 많이 드는 해상풍력에 정부의 투자가 너무 적다는 것이다.

“그건 일부 사람들의 시나리오입니다. 정부의 역할은 판을 만들고 정책을 펴는 것입니다. 투자는 민간에서 하는 것이죠. 앞서 밝혔다시피 현재 한 개라도 더 설치하려고 난리입니다. 해외수주를 위해 트렉레코드가 필요하니까요.” 그는 투자가 문제가 아니라 설치할 자리가 부족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또 본인이 해상풍력 관계자라 그러는 건 더더욱 아니라고 강조했다. 그만큼 투자가치가 높다는 것이다. “그래도 해상풍력에 참여할 주 업체는 한전 자회사인 발전사들이 되지 않을까 싶어요. 전력계통관리를 그들이 하니 보다 수월할 겁니다. 건설시공사들도 많이 참여하려 해요. 지금 검토 중인 곳도 30개 정도입니다.”

2013년까지 100㎿가 로드맵 1단계 목표다. 참여할 기업은 어떤 곳이고 추진상황도 궁금했다. “100㎿, 사실 그게 요즘 가장 큰 고민입니다. 조만간 발표될 마스터플랜에서 정확하게 공개되겠지만, 개인적으론 99㎿로 하고 싶어요.” 1㎿ 차이로 고민하는 이유가 궁금했다. “100㎿로 하면 복잡해져요. 100㎿가 넘어가면 환경영향평가 등 처리해야 할 문제가 굉장히 많아지거든요. 또 100㎿가 너무 적을 수도 있다는 고민도 들어요. 실증을 원하는 기업들이 많기 때문이죠. 한쪽에선 실증을 한쪽에선 환경을 외치고 있어요.” 그는 참여기업의 경우 아직은 공개하기가 힘들며 윤곽은 거의 그려놓은 상태라고 덧붙였다.

한 단장은 어업에 미칠 영향도 고려하고 있었다. “아마 지경부와 농림부가 마찰이 있을 겁니다. 하지만 긍정적으로 생각해요. 예를 들면 원자력발전소 주위에 고기가 많아요. 그 옆에 물이 따뜻하거든. 이런 것을 잘 활용하면 좋은 방향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겁니다.” 그는 필연적으로 문제는 생기지만 합의과정을 거치면 반드시 좋은 결과가 있을 것으로 봤다. 해상풍력에 대한 그의 긍정적 마인드와 성공확신은 거침이 없었다.

* 상기 기사는 에너지코리아뉴스의 자매지 월간 <CEO ENERGY> 2011년 2월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저작권자 © 에너지코리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