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日 원전사고, 他山之石으로 삼아야

日 원전사고, 他山之石으로 삼아야

  • 기자명 박진형 기자
  • 입력 2011.03.17 19:24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향후 방사능방재대책본부 필요성 제기
현 상황, 국내 전문가 “우리나라 피해 없을 것”

지난 15일 기상청에서는 일본 상공의 방사능 물질이 우리나라로 불어오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밝힌바 있다. 그렇지만 일부 국민들은 혹시나 하는 마음에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기상청이 밝힌 이유는 편서풍 때문이라고.

그렇다면 반대로 우리나라 좌측에 위치한 중국에서 원전사고가 일어난다면 고스란히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다는 말인데, 이부분은 국내 전문가도 인정했다. 이처럼 원전을 보유하고 있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중국, 일본에서 사고가 난다면 이것은 국가적인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인근 나라에도 영향을 미칠 개연성이 충분한 것이다. 이러한 다각적인 문제점을 긴급 진단하기 위해 시민단체에서 토론회가 개최했다.

▲ 환경재단과 환경운동연합은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 과연 안전한가?’라는 주제로 긴급토론회를 열었다.

일본의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에서 연이어 사고가 발생하고 있는 가운데 환경재단(대표 최열)과 환경운동연합(대표 지영선)은 ‘우리나라 원자력 발전, 과연 안전한가?’라는 주제로 17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긴급토론회를 가졌다.

토론회에서 가장 궁금한 점은 기상청에서도 가능성은 없다고 밝혔지만, ‘일본의 방사능 물질이 한반도로 날아오는 것인 아닌가’이다. 이에 이은철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현재까지 방사능 유출 수치가 우리나라와 멀리 있고 희석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우리 국민에게 피해를 줄 정도는 아니다”고 밝혔다. 다만 “추후 상황이 급박하게 된다면 정부의 안내에 따라 마스크나 장갑정도만 착용해도 될 것”이라고 덧붙여 말했다.

다만 이번 사고에 대해 이 교수는 “일본의 초기 수습대처가 아쉬웠다”고 토로했다. 즉 ‘대지진이라는 천재에 미숙한 초기대응이 화를 키운 인재’로 규정했다. 이 교수는 다수의 전문가들이 1호기가 폭발할 것이라고는 그 누구도 예상치 못했다고. 중대사고가 발생할 시 수행해야 하는 지침이 있었겠지만 비상사태다 보니 판단을 하기가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짐작했다.

이 교수는 “현 상황에서는 판단컨대 5~6호기 등의 폭발을 막아 건물을 보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 이날 토론회에는 현재의 관심도를 반영해 많은 참가자들이 참석했다.

이석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기획부장도 “미국의 쓰리마일아일랜드 사고(1979년)와 체르노빌 사고(1986년) 이후 국내 원전은 국제기구의 기준을 모두 맞추고 있으며,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도 일본의 방사능이 국내로 들어올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국내 원전의 안전과 관련해 오창환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역사적인 기록을 토대로 우리나라. 특히 경주의 자료를 분석해보면 진도 7~8의 지진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추정이 가능하다며 다만 우리나라가 일본과 달리 그 지진의 주기가 길어 발생빈도가 적다는 것이지 안 일어난다고 생각하면 큰 착각이라고 지적했다.

또 2008년 중국의 쓰촨성 대지진에서 봤듯이 판 내부에서도 지진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점을 본다면 우리나라가 더는 지진의 안전지대는 아니며 진도 6.5에 맟춰 설계된 우리나라 원전시설에 대한 연구가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고 오 교수는 말했다.

양이원영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 국장은 “우리나라 방사능 누출 시 대피요령이 ‘장독대 뚜껑을 닫아라’ 등의 1970년대 수준”이라며 “상황발생 시 제대로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정부가 마련해야 하고 이번 사고를 계기로 우리도 방사능방재대책본부를 즉각 구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양 국장은 우리나라 대비책에 대해 “방사능 노출 대비 약재인 요오드가 12만 5000명분, 세슘이 130명분밖에 없는 등 국내 대처시스템이 상당히 허술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사회를 맡은 이창현 국민대 언론정보학과 교수는 “언론은 정부에서 발표하는 원자력 안전신화 등을 무비판적으로 전달해서는 안 되며, 시민들의 재난에 대한 막연한 공포를 확대 재생산해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특히 NHK 방송과 같이 재난 발생 시 공익방송의 역할을 강조했다.

토론 후 질의응답시간에는 트위터 등을 통해 수많은 질문이 쏟아져 참석자들의 높은 관심을 드러냈다. “중국의 원전에서 사고가 날 경우 편서풍의 영향에 있는는 우리나라에 피해는 없느냐”는 한 참석자의 질문에 이석호 박사는 “중국의 원전사고가 나면 우리나라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볼 수 있 수 있다”고 밝혔다.
또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병옥 박사는 “원자력발전소는 100만개 이상의 부품과 구조로 이뤄졌는데, 일부의 지식만을 가진 전문가가 ‘100% 안전하다’고 얘기하는 걸 믿을 수 있느냐”고 지적했다.

▲ 모두발언을 하고 있는 최열 환경재단 대표.
한편 토론회에는 이은철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 이석호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기획부장, 오창환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 장정욱 일본 마쓰야마 대학 경제학과 교수, 양이원형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국장 등 전문가들이 참여해 국내 원자력 발전의 안전성에 대해 찬반 토론을 펼쳤다.

이날 모두발언에 나선 최열 환경재단 대표는 “체르노빌 사고가 났을 때 사회주의의 핵발전소 시스템과 자본주의 시스템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했지만 핵발전소의 원리는 같다”며 “이번 토론을 통해 ‘기후변화를 줄이기 위해 원자력으로 가야한다’는 등의 우리나라의 원자력 르네상스 정책을 추진하는 현 정부의 정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환경재단은 18일 오전 10시 환경재단 1층 레이첼카슨홀에서 각계인사 77인을 중심으로 국내 원전의 안전성 관련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코리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