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바이오가스 활용한 국내 첫 ‘수소 마더스테이션’ 준공 의미는?

바이오가스 활용한 국내 첫 ‘수소 마더스테이션’ 준공 의미는?

  • 기자명 정욱형 기자
  • 입력 2022.03.30 16:35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충주 바이오수소융복합충전소’서 청정수소로 수소차를 충전하다

- 충주 바이오수소 마더스테인션 개념도 
- 충주 바이오수소 마더스테인션 개념도 

 

[에너지코리아뉴스] ‘재생에너지 기반 청정수소충전소이자 최초의 마더스테이션’으로 의미가 큰 충주 바이오수소융복합충전소가 준공됐다. 특히 음식물쓰레기를 원료로 생산된 재생에너지인 바이오가스를 활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므로 순탄소 배출이 0에 가까운 청정수소충전소로 평가받고 있다. 여기에 국내 최초의 수소 마더스테이션으로써, 산업단지 부생수소를 기반으로 특정 지역에 편중되었던 기존 수소 공급체계에서 탈피해, 지역 내 분산형 수소 생산 및 공급 네트워크의 구축이 가능해짐에 따라 수소 가격 및 공급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30일 준공식 개최…산업부 박기영 차관 등 참석

지난 3월 30일 충북 충주에서는 바이오수소융복합충전소 준공식이 열렸다. 준공식에는 산업통상자원부 제2차관, 이종배 의원, 충북도지사, 충주부시장, 원주지방환경청장,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장, 고등기술연구원장, 충북TP 원장, 효성중공업 상무, 현대로템 본부장, 비츠로넥스텍 전무, 서진에너지, 창신화학 대표 등이 참여했다.

이번 준공식 행사에서 박기영 산업부 제2차관은 축사를 통해, 충주 바이오수소융복합충전소가 ‘재생에너지 기반 청정수소충전소이자 최초의 마더스테이션’으로 의의가 큼을 강조하는 한편, 정부도 “핵심부품 국산화 지원을 지속하며 2030년까지 수소충전소 국산화율 100%를 달성하고, 충전소 구축 비용의 절감과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해 힘써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산업부는 수소충전소 부품의 국산화율 증대를 위한 기술개발 및 성능 고도화 실증 등을 진행 중이다. 수소버스용 충전소 부품 실증 및 버스연계형 실증사업 R&D은 2020년부터 2023년까지 국비 100억원, 수소충전소 핵심부품 신뢰성 제고를 위한 성능 고도화 실증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국비 173억원, 70MPa급 듀얼 타입 수소충전기용 핵심부품 개발 및 실증은 2021년부터 2024까지 국비 114억원이 투입된다.기체충전소뿐만 아니라 액화수소충전소용 핵심부품 개발과 시설 안전 기술개발 등 액화수소충전소의 조기 상용화를 위한 지원도 지속해서 추진할 계획이다.
 

산업부 시범사업으로 고등기술연구원 컨소시엄이 구축

이번에 준공된 바이오수소융복합충전소는 2019년 산업부가 공고한 ‘바이오가스를 이용한 수소융복합충전소 시범사업’의 결과물로써, 고등기술연구원 컨소시엄을 통해 구축됐다. 고등기술연구원 컨소시엄은 고등기술연구원/충주시, 충북도, 충북TP, 효성, 비츠로넥스텍, 서진에너지, 산업연구원이 참여하고 있다.

충주 바이오수소융복합충전소는 인근의 음식물바이오에너지센터에서 생산된 바이오가스를 이용해 수소를 생산하고 충전하는 곳으로써, 청정수소 제조식 충전소, 국내 최초의 마더스테이션, 국산화율 향상 등의 관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바이오가스는 음식물쓰레기 등의 유기성 물질을 혐기성 미생물을 통해 분해하여 생산하는 메탄가스를 말한다.

기존의 화석에너지로부터 수소를 생산하는 방식이 아니라, 음식물쓰레기를 원료로 생산된 재생에너지인 바이오가스를 활용하여 수소를 생산하므로, 순탄소배출이 0에 가까운 청정수소충전소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국내 최초의 수소 마더스테이션으로써, 산업단지 부생수소를 기반으로 특정 지역에 편중되었던 기존 수소 공급체계에서 탈피해, 지역 내 분산형 수소 생산 및 공급 네트워크의 구축이 가능해짐에 따라 수소 가격 및 공급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수소 유통수단인 수소튜브트레일러 충전 설비도 갖춰

수소 마더스테이션는 수소차 충전 설비뿐 아니라 수소 유통수단인 수소튜브트레일러 충전 설비도 갖춰, 인근 수소충전소(daughter)에 수소를 공급하는 거점 역할도 동시에 수행이 가능한 수소충전소이다.

또한, 추출기, 압축기 등 핵심부품에 대한 국산화 기술개발을 통해 약 70%에 달하는 국산화율을 달성한 국산화 모범사례이기도 하다.

바이오수소융복합충전소는 충북이 지난 2021년 7월 ‘그린수소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됨에 따른 이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성과란 점에서도 주목된다.

규제 해소로 바이오가스제조사업자가 수소제조사업자에게 직접 바이오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허용됨으로써, 도시가스사업자 등을 통할 경우 도시가스 품질을 맞추기 위해 필수적으로 갖춰야 했던 설비비 및 관련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도시가스사업법 제8조의3 제1항에 따라 ‘바이오가스제조업자’가 ‘일반도시가스사업자’ 등에만 바이오가스를 공급이 가능하다.

이에 더해, 천연가스에 비해 저렴한 바이오가스를 원료로 직접 수소를 생산하는 제조식 충전소로써 원료비와 유통비도 절감함에 따라, 전국 수소충전소 평균 단가인 8,326원/kg 보다 7.5% 가량 낮은 7,700원/kg으로 수소를 공급한다. 수소평균 단가는 3월 28일 기준, 한국가스공사가 운영 중인 수소유통정보시스템 ‘하잉(Hying)’ 앱에 따른 것이다.

저작권자 © 에너지코리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