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KCCSA, 우리나라 CCS 사업 시발점 될 것”

“KCCSA, 우리나라 CCS 사업 시발점 될 것”

  • 기자명 박진형 기자
  • 입력 2010.11.29 19:14
  • 0
  • 본문 글씨 키우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종훈 KCCSA 설립추진위원회 위원장(서울대학교 공학대학 화학생물공학부 교수)

그 동안 각종 세미나 등에서 CCS에 대해 설파해 온 한종훈 교수. 그런 그가 한국이산화탄소포집및저장협회(KCCSA)의 설립추진위원장을 맡은 것은 어쩌면 당연한 듯 보인다. 그간 협회 창립을 위해 노력한 그를 총회 다음날 만나 CCS에 대한 전반적인 이야기와 KCCSA의 방향에 대해 들어봤다.

▲ 한종훈 서울대학교 교수
“온실가스에 대한 국제협상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속단하기는 이르지만, 국가적인 합의가 도출되고 이에 대한 규제가 강화된다면 CCS 사업은 큰 전환기를 맞이할 것입니다. 왜냐면 타 녹색기술과 비교해 현재 기술수준에서 온실가스를 저감할 수 있는 최적의 기술이 CCS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한종훈 교수는 CCS에 대한 장밋빛 미래를 이야기하면서도 한편으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현재의 노력이 더욱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런 점에서 협회의 필요성은 그동안 누차 강조돼 왔고, 정부에서도 이를 위해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하지만 걸림돌이 없는 것은 아니다. CCS 사업 자체가 비용이 많이 드는 것도 문제지만 무엇보다 인식이 낮다는 게 문제였다. 한 교수는 “낮은 CCS 보급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CCS에 대한 현장의 인식 확대가 필요하며, 이런 점 때문에 협회가 꼭 있어야 한다”며 협회 설립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또한 “국가 기간산업으로 상당량의 CO₂를 배출하고 있는 발전부문에서 한전을 비롯한 5개 발전회사가 참여하는 것은 CCS 인식의 확대는 물론이고 초기시장 창출에 큰 힘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CCS 사업의 발전을 위해 우선 기본 토양부터 단단히 할 계획이다. 법과 제도마련에 착수한 것이다. 한 교수는 “국내에는 CCS에 대한 법 자체가 없는 상황으로 현재 이에 대한 법규마련 등의 연구에 착수했으며, 내년 말까지는 정부에 건의할 수 있는 안이 도출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실증 건물도 이를 기반으로 실시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CCS 사업은 ‘포집-수송-저장’ 등 각 요소 기술들의 개발이 필요하다. 발전, 화공, 조선, 지질, 해양 등 다양한 주체들의 참여가 요구되는 대형 플랜트 사업이기도 하다. 따라서 관련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보장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리더십이 필요하다는 것이 한 교수의 생각이다. 그는 말한다. “플랜트 산업에서 강점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가 CCS라는 새로운 무기를 장착하면, 국가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며 “이러한 시발점이나 구심점으로 KCCSA의 역할이 중요한 것”이라고.

CCS 선진국으로는 현재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노르웨이를 비롯해 미국, 일본, 호주, 영국 등이 손꼽히고 있다. 이러한 국가들과의 국제 공동 R&D 등 국제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KCCSA가 중심적인 역할을 해야한다. 또한 부족한 인력을 충원하기 위한 인력양성과 CO₂저장소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 제거를 위한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이다.

현재 KCCSA는 정회원사 16개사, 특별회원 54명중 25명은 특별회원기관으로 등록돼 있다.
저작권자 © 에너지코리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